전라남도의 친환경농산물 인증 면적이 2009년 이후 15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전남도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지역 내 친환경농산물 인증 면적은 3만 5328ha로, 지난해 말(3만 4294ha)보다 1034ha 늘어났다. 이는 친환경농업직불금 단가 인상, 친환경 벼 공공비축미 전량 매입, 쌀 생산조정제 시행, 신규 재배 확대 등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해 전남도는 지난 11일 전남도농업기술원에서 시군 친환경농업 담당자들과 인증대책 회의를 열고 상승세를 굳히기 위한 인증 취소 방지 방안을 논의했다. 그동안 고령화로 인한 인력 부족과 이상기후 속에서 논두렁 제초제 살포, 유기농 필지의 동계작물 재배 시 화학비료 사용, 병해충 방제 시 합성농약 사용 등이 인증 취소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돼 왔다. 도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농업 의무교육, 방제업체 안전 교육, 공동방제 사전신고제 등을 실시해 왔으며, 그 결과 인증 취소 면적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친환경 인증 대책회의 모습
전남도는 인증 관리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논두렁 조성 효율화 지원사업'을 시범 추진하고, 유기농 벼 재배지에서 동계작물을 키울 때 화학비료 살포를 금지하는 대신 자운영, 헤어리베치 등 녹비작물 공급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친환경 인증 농지의 타인 임대 금지, 공시된 유기농업자재 사용 등을 농가에 적극 당부하고 있다.
아울러 생산 단계에서의 안전성 관리도 촘촘해진다. 친환경 육묘상자 처리제 사용을 유도하고, 출하 전 잔류농약 검사를 의무화하는 한편 영농 시기별로 인증 기준 안내 문자를 발송해 농가의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김영석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인증 취소 방지 대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실행력을 높이고, 단지화와 품목 다양화를 통해 유기농 중심의 친환경농업 확산과 소비자 신뢰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친환경투데이 원정민 기자 press@greenverse.net |